본문 바로가기

소득의 미래

새로운 패러다임, '긱 이코노미' 의 장점과 단점을 알려드립니다! 매일매일 취업을 하기 위해 이력서를 수 십장을 작성하시고, 또는 직장인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직업 혹은 새로운 수입 루트를 만들고 싶으신 분들에게 아주 매력적인 소식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기술과 과학이 발전함에 우리들은 인류 역사상 가장 부유하고도 첨단 기술을 저렴한 가격에 누릴 수 있는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익부 빈익빈의 격차는 점점 더 커지고 있죠. 물가 상승률이 우리들의 월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선, 새로운 소득원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여러분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세계는 빠르게 변화합니다. 정직원으로 채용된 직장인들은 안정적인 소득에 좋아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기업의 입장에선 아주 비효율적인 모습입니다. 필요할 때만 인재들을 채용해서 프로.. 더보기
[서평/소득의 미래] 7.6%의 전쟁, 그리고 탈락한 무용 계급의 사회적 안전망. "기본 소득"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적자 인생이 시작된다. 부모님의 품 속에서 성장해 성인이 되어 사회활동을 통해 소득을 얻고 늙어버린 부모를 부양한다. 수명은 빠르게 증가하는데 흑자 기간은 늘지 않고 있다. 즉, 흑자 기간이 늘지 않는다면 적자 구간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소득의 위기'가 오는 소리가 들린다. 가족은 남성 가장을 순종하고, 남성 노동자는 기업에 복종하며 기업은 국가에 충성하던 구조가 2000년대 들어 붕괴하기 시작한다. 상위 10퍼센트에 들지 못한 가장들은 가족 부양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가장 노릇'을 못하는 지경에 이른다. 2018년 공기업 직원 전체 평균 연봉 7842만 원, 전체 공공기관 직원 평균 연봉 6798만 원, 한국 성인 소득 상위 10퍼센트 연소득 5153만 원(2017년). 청년들이.. 더보기